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반응형

한센병이란

한센병이란 나균(Mycobacterium leprae)에 의해 감염되는 만성 감염병으로 피부와 말초신경에 주 병변을 일으키는 면역학적 질환입니다. 만성 감염병이지만 나균에 대한 면역기능이 아주 약한 경우에만 발생되고,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하면 후유증 거의 없이 완치가 가능한 질병입니다.

나균(Mycobacterium leprae)

한센병 원인

한센병의 원인병원체인 나균(Mycobacterium leprae)은 결핵균과 같은 항산성균이며 세포 내에 기생하는 균으로 증식 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그러나 피부와 신경에 친화력이 있고, 병원성 미생물 중 가장 먼저 보고된 균이지만 현재까지 인공배지에서 증식시키기 못하고 있습니다. 한센병의 원인병원체인 나균의 생존력은 음지의 건조한 상태에서 5개월, 습한 토양에서 46일, 하루에 3시간씩 직사광선을 노출하는 상황에서 7일,  4℃에서 60일, -70℃에서 28일 생존 가능 합니다. 

한센병 발생현황

한센병은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감염성 질환으로 인도 고문서(기원전 600년경)에서 최초 발견되었습니다. 1873년 노르웨이의 한센(Hansen)이 나균을 발견하였고, 최근 신환자 발생은 인도, 브라질, 모잠비크, 네팔, 인도네시아, 마다가스카르 등 6개 국가에 집중되어 있고, 이들 국가의 환자 수는 전 세계 환자의 80%, 신환자의 85%를 차지합니다.

WHO는 한센 퇴치목표를 유병률 인구 1만명 당 1명 이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국내현황은 1445년 왕조실록 세종조에서 제주에서 구질 막 설치하고, 수용진료를 실시한 기록이 전해지고 있으며 한국은 1982년에 WHO의 한센 퇴치목표에 도달하여 선진국 관리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센사업대상자는 2000년 18,260명에서 2022년 8,109명으로 급격히 감소(55.6%)하였고, 활동성환자는 2022년 78명(유병률 0.02%)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센병 증상

한센병의 증상은 반점이나 침윤, 말초신경의 비후 또는 지각신경마비 등 활동성 임상증상을 나타내며 균이 주로 피부와 말초신경에 병변을 일으키고 뼈, 근육, 안구, 고환등을 침범합니다. 가장 보편적인 증상은 피부가 퇴색되거나 붉은색 등으로 침착된 반점이 나타납니다. 가렵지는 않지만 따뜻하거나 차갑거나 아프다는 것을 잘 느끼지 못해 상처가 나거나 화상을 입을 수 있으며 피부 병소가 생기기 전에 신체의 주요 신경을 잠식하여 신경통 증상으로 임파선이 붓고 심한 통증이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증상이 오래 지속될 경우 손가락, 발가락 등에 힘이 없고 구부러지기도 하며 눈썹이 빠지기도 합니다.

환자분류는 나균의 수 또는 임상증상에 따라 분류합니다. 

병형 임상증상
나종형 나
(Lepromatous type)
- 나균에 대한 면역력은 낮고, 만성 합병증이 많음. 나성 홍반성 반응이 흔하여 세균지수가 높아
  치료 기간이 긺.
- 대칭적으로 분포된 많은 수의 반점과 결절이 있음
- 신경손상이나 미모탈락이 나타남
- 호흡기점막 침범시 코막힘, 코피, 후각 소실이 발생함
- 눈 침범시 각막 감각이 마비되고 홍채염, 녹내장, 토안, 실명에 이를수 있음
- 손과 발에 감각 소실이나 궤양, 2차 감염이 발생함
- 관절 부종이 발 생함
- 손과 발가락이 골다공증에 의해 짧아짐
- 고환염이 발생함 
결핵형 나
(Tuberculoid type)
- 나균에 대한 면역력이 높고, 신경손상이 심하나 자연 치료되기도 함
- 감각이 저하되고 경계가 뚜렷한 단일 또는 몇개의 피부병변이 발생함
- 비대칭적으로 분포된 말초 신경염과 한 두개의 신경 비후가 발생함

중간군형 나
(Borderline type)
- 나종형 나와 결핵형 나 중간의 다양한 임상 증상을 보임
- 근결핵양형(BT), 중간형(BB), 근나종형(BL)로 나뉘어짐 

한센병 치료

한센병의 치료는 병행요법으로 답손(Dapsone), 리팜피신(Rifampicin, RMP), 클로파지민(Clofazimie, B663)등의 약을 병 요하여 치료합니다. 조기 진단, 조기 치료 등의 조건이 갖추어질 때 후유증을 비교적 적게 남길 수 있습니다. 

나종형은 답손, 리팜핀 병합요법을 12개월간 시행하며, 결핵형은 답손, 리팜핀, 클로파지민 병합요법을 24개월간ㄱ 시행합니다. 투약 종료는 한센병의 제반증후가 정지되어 치료종결 판정을 받을 때까지 투약을 유지합니다. 

또한, 한센사업 대상자는 보건소장 또는 관리의사의 처방에 따라 규칙적인 치료와 진찰을 시행하되, 한센병담당자는 한센사업대상자의 비밀 유지에 특히 유의해야 합니다. 재가치료가 어렵거나 타인에게 전염시킬 우려가 크다고 인정되는 사람은 장기 또는 단기 입원시설에서 증상이 호전되거나 감염의 우려가 없어질 때까지 입원치료 합니다. 

한센병 예방관리

한센병 예방관리는 병원성이 극히 미약하므로 지역주민 대상의 예방요법이 불필요하며, 일부(10%) 접촉자의 피부나 비점막에서 나균이 분리되고 불현성 감염자 등을 고려할 때 한센병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예방요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확실하게 진단되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예방치료를 시작할 경우 약 중단 우려가 있고 순응도 유지도 어려우며, 불완전하고 불규칙하게 시행된 예방치료는 약제의 내성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추천하지 않습니다. 

한센병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예방관리가 필요할것으로 생각됩니다. 

반응형

한센병이란? 한센병 원인과 발생현황, 증상 및 치료, 예방관리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